1 /
[공지] 서울대-삼성전자 로봇공학 교육트랙(SSRT) 2025년 후기 대학원 석사과정 트랙학생 모집
서울대-삼성전자 로봇공학 교육트랙(SSRT)2025년 후기 대학원 석사과정 트랙학생 모집지원기간: 2025.7.18.-2025.8.18. ■ 트랙 개요미래 로봇산업의 중추를 담당할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설립된 서울대-삼성전자 로봇공학 교육트랙에서 2025년 후기 트랙학생을 모집합니다. 본 트랙 프로그램은 채용연계형으로 석사학위 취득 후 삼성전자 DX부문에 추가 전형 없이 바로 입사하게 됩니다. ■ 지원 자격- 서울대학교 대학원 재학생 및 신입생- 2년 내 석사학위 취득 가능자(지원학기 포함 트랙에 2학기 이상 재학 필요, 석사과정 이외에도 석사졸업 시 지원가능)- 모든 단과대/학부/학과 학생 지원가능(로봇연구 실험실 소속 지원자 우대)- 병역필 또는 면제자- 어학 성적: OPIC Intermediate Low 또는 TOEIC Speaking Level 5이상(110점 이상) * 산학장학생 면접 당일까지 어학성적증명서 제출 가능 ■ 선발 및 지원 절차1. 트랙 지원 및 학내 예비 선발(8월 말) 2. 삼성전자 채용전형 계정 오픈 및 서류 접수(9월)3. GSAT 또는 SW역량테스트, 면접(9월-11월) * SW역량테스트 응시계획 시 동계 SW/알고리즘특강(https://samsungalgorithm.com/) 지원/수강 강력추천4. 산학장학생 합격과 동시에 트랙 선발(트랙 선발을 위해 산학장학생 합격이 필수임) * 트랙 학내 예비 선발자에 대해 삼성전자에서 산학장학생 응시 개별 안내 예정- 지원기간: 2025.7.18.-2025.8.18.- 지원서류: 지원서, 성적표, CV, 어학성적증명서 (제출: ssrt.track.2023@gmail.com) ■ 트랙 혜택 및 요건- 채용연계형 프로그램으로 석사학위 취득 후 삼성전자 DX부문 로봇 관련 조직에 추가 전형 없이 바로 입사- 삼성전자 산학장학생 프로그램 합격 후 등록금 및 학비보조금 지급- 학생 선택 글로벌 로봇 학술대회 또는 전시회 1회 참관(논문 게재 및 발표와 무관)- 방학 중 삼성전자 현장실습 1회 수행(희망자)- 석사 졸업생 중 별도 심사를 통해 박사과정 진학 가능(약간명)- 트랙 요건: 로봇트랙 교과목 중 핵심 6학점 포함 15학점 이상 교과목 이수. 트랙요건과 학부/학과 졸업요건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수강신청을 해야 함. * 교과목 리스트: 홈페이지-선발절차/일정-교과목안내(http://ssrt.snu.ac.kr) 문의처: ssrt.track.2023@gmail.com, 02-880-1690, http://ssrt.snu.ac.kr/
2025.07.18[공지] 2026–2028년 한-이탈리아 과학기술 공동연구 공모 안내
[2026–2028년 한-이탈리아 과학기술 공동연구 공모 안내] 과학기술정보통신부(MSIT)와 이탈리아 외교협력부(MAECI)가 공동 주관하는 2026–2028년 한-이탈리아 과학기술 공동연구 공모가 다음과 같이 개시되었음을 알려드리오니, 관심있는 구성원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. 1. 공모 개시일: 2025년 7월 3일2. 제출 마감일: 2025년 8월 4일(월) 18:00 (KST 기준)3. 과제 수행 기간: 2026년 ~ 2028년 (3년간)4. 참고 사항: 자세한 사항(자격 요건, 지원 분야, 제출 방법, 예산 등)은 첨부된 공식 공고문(PDF)을 참고5. 문의사항: seonghui@nrf.re.kr (한국연구재단 국제협력국) 붙임 2026–2028년 한-이탈리아 과학기술 공동연구 공모 공식 공고문
2025.07.03[공지] 2025년 제14회 공과대학 창의설계축전 개최 및 접수 신청 안내(~8/22)
2025학년도 제14회 공과대학 창의설계축전을 아래와 같이 진행하고자 하오니, 공과대학 학부생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. 가. 행 사 명: 2025학년도 제14회 공과대학 창의설계축전나. 출품분야 - 창작 활동 부문: 공학 창작물 제작, 공정설계아이디어, 소프트웨어 개발 등 일체 - 연구 발표 부문: 예비대학원생(3, 4학년 학부생) 연구(포스터) 발표다. 참가 대상자(2025년 2학기 기준) - 창작 활동 부문: 공과대학 학부생 1인 이상을 포함한 팀(1~3인) ※ 타 단과대학 학생과 다학제팀 구성 가능 - 연구 발표 부문: 공과대학 3, 4학년 예비대학원생 1인라. 기 간: 2025. 9. 24.(수) ~ 9. 25.(목)마. 장 소: 공과대학 38동 1층 필로티 또는 붉은광장 및 39동 BK다목적홀 등(행사 준비 상황에 따라 추후 변동 가능)바. 접 수: 2025. 6. 16.(월) ~ 8. 22.(금)사. 제출서류: 참가신청서 및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, 과제보고서 ※ 창작 활동 부문에 한해 PR동영상(3분이내)제출아. 예선심사일정: 2025. 9. 4.(목) ~ 9. 11.(목)자. 예선발표: 2025. 9. 15.(월) 예정※ 예선통과자들에 한해 발표포스터 작성 요청 예정차. 수상특전공모분야창작 활동 부문(하드웨어, 소프트웨어 등)(신설) 연구 발표 부문포상 - 대상 1팀: 해외연수, 상금 200만원 - 금상 1팀: 해외연수, 상금 100만원 - 은상 2팀: 해외연수, 상금 50만원 - 동상 7팀: 상금 100만원 - 대상 1인: 해외학회지원, 상금 200만원 - 금상 2인: 해외학회지원, 상금 100만원 - 은상 3인: 해외학회지원, 상금 50만원 - 동상 5인: 상금 50만원 비고(대상,금상,은상 특전)· 해외연수(CES 참관 등)· 해외학회지원 최대 500만원 지원 예정· DB 드림마스터 장학생(국내외 석사, 박사 과정 장학금 지급) 신청 기회 제공· 공학페스티벌 참가 지원: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경진대회 희망 시 출전 지원* 모든 참가자 참가상 : 각 부문별 참가 팀 수에 따라 상금 지급* 창작 활동 부문: 재료비 60만원 내로 지급카. 참가신청, 수상작 및 기타 FAQ 참고 방법 - 창의설계축전 안내 < 창의설계축전 < 소통광장 | 서울공과대학 (snu.ac.kr) - 서류양식 및 FAQ(목록) < 창의설계축전 < 소통광장 | 서울공과대학 (snu.ac.kr)
2025.06.11[입시] 2025학년도 후기 글로벌인재특별전형Ⅱ 학사신입학 공과대학 면접 대상자 안내
2025학년도 후기 글로벌인재특별전형Ⅱ 학사신입학 화상면접과 관련하여 공과대학 면접 대상자 분들께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.자세한 내용은 지원 시 작성해주신 이메일로 안내드렸으니 반드시 확인 바랍니다.1. 화상면접 사전테스트 - 일시: 2025. 5. 8.(목) 16:00~18:00 (한국시간) - 소요시간: 지원자별 10분 내외2. 화상면접 본면접 - 일시: 2025. 5. 9.(금) 16:00~18:00 (한국시간) - 소요시간: 지원자별 10분 내외감사합니다.
2025.05.02[공지] 임대 신청 절차 및 필요서류 안내
임대 신청 절차 및 필요서류 안내 1. 관련: 「서울대학교 재산관리규칙」 제6장(임대) 2. 임대 신청 기한: 신규는 임대시작일 2개월 전, 갱신은 임대종료일 1개월 전 신청 ※ 임대 신청 전 반드시 공과대학 담당자와 협의 3. 임대 신청 공문 발송: 학과(부) 및 연구소 등 관리기관 → 공과대학 가. 제출서류 1) 기본서류: 임대신청서(서약서 포함), 인감증명서, 사업자등록증 및 법인등기사항전부증명서*, 평면도, 기관 자체 임대 관련 위원회 회의록, 임대 신청 사전 검토서 * 임대 신청일 기준 최근 3개월 이내 발급, 법인등기사항증명서는 개인일 경우 주민등록초본으로 대체 2) 추가서류 ○ 교육·연구·산학협력인 경우: 관련 협약서(계약서) ※산학협력의 경우, 「서울대학교 연구비 관리 규정」 제10조에 따라 체결한 연구협약계약서 제출 ○ 교원창업(벤처)인 경우: 교원 창업 승인 공문(연구정책과), 벤처기업확인서*(해당 시) * 벤처기업확인서 미제출시 제출 조건부 승인 ○ 창업보육센터인 경우: 창업보육센터 입주 심사 자료(입주 선정 평가 결과 자료) ○ 학회 및 협(의)회인 경우: 정관, 본교 전임교원 1인 이상이 임대신청 기간 동안 법인의 임원으로 활동 중임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(임명증, 임명공문 등) 나. 진행 과정: ① 제출 서류를 구비한 후 임대 신청 기한을 준수하여 임대 신청(관리기관) ②′ 공대 승인 대상: 임대 요건 충족 여부·최대 임대 기간 등 검토하여 임대 승인 또는 미갱신(퇴거) 대상 알림 → 공대 기획위원회 보고 ②″ 자산운영과 승인 대상: 공대 기획위원회 심의 → 자산운영과에 임대 신청 → 자산운영과 임대 승인 후 관리기관에 임대 승인 알림 4. 유의사항 ○ 임대 공간 위치 및 면적 등은 「서울대학교 공간정보관리시스템」 기준으로 작성 ※시스템 접속 방법: 서울대학교 포털시스템 → 학사/행정 메뉴 → 공간관리(SIMS) ○ 임차인이 개인인 경우, 주민(외국인)등록번호 앞 7자리까지만 확인 및 기재 ※ 예시: 800101-1234567(X) → 800101-1******(○) 5. FAQ Q1. 교원창업과 교원벤처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? A1. 벤처기업확인서 발급 가부로 나뉘며, 가능하면 교원벤처, 아닐 경우 교원창업으로 신청하여 주시면 됩니다. Q2. 임대료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임대 유형은 무엇인가요? A2. 교원벤처, 창업보육의 경우 80% 할인됩니다. 6. 관련 문의: 공과대학 기획협력실 손성아(02-880-8328, 이메일:son.s.a@snu.ac.kr) 붙임 관련 서식 각 1부. 끝.
2024.11.11[공지] 공과대학 신입생 및 재학생 2025학년도 2학기 교양 「물리학 2」·「물리의 기본 2」 (재)수강 안내
공과대학 신입생 및 재학생 2025학년도 2학기 교양 「물리학 2」·「물리의 기본 2」 (재)수강 안내 공과대학에서는 각 학과(부) 교양 이수규정을 통해 자연과학대학 물리·천문학부 주관 교양 물리 과목을 필수 또는 선택적 필수 이수 과목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.한편 2019학년 입학생부터는 이와 관련된 이수규정이 변경되어, 각 학번의 이수규정에 부합하는 과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반드시 숙지하시기 바랍니다.2025학년도 1학기 부터 수강 절차 변경 사항이 있으므로 대상자께서는 반드시 변경 내용을 숙지 바랍니다. * 타 단과대학 학생은 해당 단과대학 소속 학과(부)에 문의 바랍니다. ※ 수강 절차 변경 ※ ○ 담당 교수 사전 허가 제도 도입 : 물리의 기본 2 담당 교수에게 사전에 수강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이메일을 발송하여 허가 회신을 받으면 수강 가능학번별 이수규정 및 안내문(파일 첨부)을 참고하시어 수강신청하시기 바랍니다.※ 학과(부)별 이수규정은 각 학과(부) 행정실에 문의※ 단, 전기·정보공학부 학생은 제외(해당 학부는 물리의 기본 1, 2 인정불가, 따라서 물리학 1, 2 수강바람)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Q. 고교과정에 물리2 이수내역이 없지만, 수능 물리2 시험을 통해 상위권 성적을 취득하였으면 물리학1·2 이수해도 되나요?A. 안됩니다. 수능 물리2 시험을 통해 상위권 성적을 취득하였더라도 「물리학 1·2」를 수강할 수 없고, 「물리의 기본 1·2」를 수강해야 합니다.(단, 신입생특별시험(물리)에서 상위권 성적 취득의 경우 수강 가능)Q. 검정고시의 경우, 확인서 제출 후 물리의 기본 수강이 가능한가요?A. 고교 교과이수내역이 없으므로 확인서 제출이 불필요하며, 물리의 기본 1·2를 수강해야 합니다.(단, 신입생특별시험(물리)에서 상위권 성적 취득의 경우 수강 가능)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※ 또한 재학생 및 신입생 중 고교과정에서 물리 2(물리 2와 동급 또는 더 높은 수준의 물리과목)를 이수하였음에도 「물리의 기본 2」 과목을 수강하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아래 안내된 담당 교수 사전 허가 제도 및 첨부 파일에 안내된 절차를 준수해야 합니다. ※ 담당 교수 사전 허가 제도 상세 내용(필독) ※
2025.07.23서울대공대교육연구재단에 기부해주신 주요 기부자입니다.